일광 조도 분석

작성자
AaRC(아크)AaRC(아크)
카테고리
분석
태그
일광조도분석
설명
자연광을 고려한 디자인을 합니다
notion image
 
일광 조도 분석은 우리가 디자인 하는 공간에 자연광이 얼마나 유입되는가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술입니다. 분석 과정에서 건물의 배치(향), 창의 위치와 형태, 실내 마감재의 반사율 등 복합적인 요소를 시뮬레이션하여 ’자연광의 효율’을 종합적으로 측정합니다.

왜 필요 할까요?

건축에서 빛은 가장 중요한 재료 중 하나입니다. 우리는 이 분석으로 낮 시간 동안 인공 조명의 의존도를 체계적으로 줄이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그 결과 장기적인 에너지 비용 절감과 더불어, 풍부한 햇빛이 주는 심리적, 생리적 안정감이라는 무형의 가치를 제공합니다. 공간의 목적에 맞추어 빛의 양과 질을 조절하여,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일광 조도 분석의 목표입니다. AaRC는 자연광을 정밀하게 담아내기 위해, 조도(illuminance), 일광 계수(DF), 일광 자율성(DA), 유효 일광 조도(UDI), 연간 일광 조도(TAI) 등 다양한 정량 지표를 활용합니다.
  • 공간에 하루 동안 얼마나 많은 자연광을 확보하는가?
  • 특정 시간대에 빛이 집중되는 구간은 어디인가?
  • 조도는 사용자의 시각적 쾌적성과 생리적 안정에 적절한가?
  • 과도한 빛으로 인한 눈부심이나 온도 상승은 발생하지 않는가?
 

자연광 측정 지표

 
측정 지표
정의
특징
측정 방법
조도 (Illuminance)
단위 면적에 도달하는 빛의 양
시각 작업을 위한 기본적인 밝기 기준
lux 단위로 조도계를 사용해 측정
휘도 (Luminance)
표면이 얼마나 밝게 보이는지를 나타냄
눈부심, 시야의 편안함, 시각적 인지에 영향
cd/m² 단위로 관찰 방향 기준 측정
일광 계수 (Daylight Factor, DF)
흐린 날 실외 대비 실내에 들어오는 자연광의 비율
초기 채광 설계 시 유용한 기초 지표
(실내 조도 ÷ 실외 조도) × 100 (%)
일광 자율성 (Daylight Autonomy, DA / sDA)
자연광만으로 목표 조도(예: 300 lux)를 충족하는 시간의 비율
인공조명 절감 가능성 판단, sDA는 공간 면적 단위로 기준 충족 여부 평가
연간 시뮬레이션 기반으로 목표 조도 충족 시간 분석
유효 일광 조도 (Useful Daylight Illuminance, UDI)
100~3,000 lux 범위의 자연광이 얼마나 자주 도달하는지를 나타냄
눈부심 없이 쾌적한 채광 환경 설계를 위한 지표
연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구간별로 분석
총 연간 일광 조도 (Total Annual Illumination, TAI)
특정 지점에 연간 누적된 자연광의 총량
공간이 얼마나 오랜 시간 자연광에 노출되는지 정량적으로 평가
klux·hrs 단위로 연간 누적 조도값 계산
 

 
더 자세하게 알고 싶으신가요? AaRC(아크)의 보고서를 읽어보세요.
 

댓글

guest